- Home
- 고객센터
- 보도자료
보도자료
도서의 서지정보, 소개글, 목차 등 유용한 자료를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검색 849 건 /
전체 849 건
- 전라북도의 종교와 신화 / l 발행 2021.01.30
- 종교 > 종교일반
- 현재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향유되고 있는 다양한 신화적 이야기들 ‘신화’라고 하면 우주 탄생이나 건국 등을 다룬 고대의 이야기 또는 신과 영웅에 대한 이야기라고만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넓은 의미에서 신화는 사람들이 진실된 것으로 받아들이면서 그 속에 담긴 의미나 가치들을 계속해서 지키고자 노력하는 이야기 모두를 포괄한다. 현대인들이 기록하고 나누는 이야기들도 그들이 참으로 받아들이거나 성스럽게 여겨 삶의 모범으로 삼는 한에서는 신화의 지위를 획득해가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신화는 과거에 갇혀 있는 고정된 이야기가 아니라, 인간의 역사 속에서 끊임없이 탄생하고 변주되며 소멸하기도 한다. 이 책은 바로 전라북도에 전해지는 다양한 신화적 이야기들을 다룬다.
- 뼈로 읽는 과거사회 / l 발행 2020.12.30
- 사회과학 > 풍속,민속학
- 옛사람 뼈를 이용한 과거 생활상 복원 방법 뼈로 읽는 과거 사회 이 책에서는 국내 고고유적에서 출토된 옛사람 뼈 자료를 대상으로 최근까지 이루어진 연구들을 총정리하면서 동시에 세계 학계의 연구 동향과 분석 방법을 검토하여, 향후 한반도 거주민의 생활사를 복원하는 데 적용 가능한 옛사람 뼈 연구의 절차와 분석 기법을 정리하고자 하였다. 세계 학계에는 이 분야의 전문가가 다수 있지만, 이들 중에서 한반도 출토 자료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는 사람은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한국인이거나 한국계 미국인으로서 한국 자료에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분석을 한 경험이 있는 전문학자들로 각 장의 집필진을 구성하였다.
- 베토벤과 바그너, 그 치유력에 대하여 / l 발행 2020.12.24
- 예술 > 음악
-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학문을 통합해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낸다는 의미로 최근 ‘통섭’이라는 말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통섭’은 이제 학문의 큰 흐름으로 자리를 잡았는데, 놀라운 사실은 베토벤과 바그너가 이미 18-19세기에 음악에서 통섭적 접근을 시도했을 뿐만 아니라 완성했다는 점이다. 통섭적 접근을 다른 말로 표현하면 ‘대극(大極)의 합일(合一)’이다. 대극의 합일은 정신의학 분야에서도 궁극적인 목표가 되며, 정신 질환의 치료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 책에서는 베토벤과 바그너가 추구하고 성취한 통섭적 접근과 대극의 합일이 심리사회적인 측면에서 완벽한 조화로움을 성취함으로써 치유력을 갖는다는 점에 주목하여 두 거장의 삶과 음악세계를 살펴본다.
- 발해 사학사 연구 / l 발행 2021.10.15
- 역사,지리,관광 > 아시아사
- 국내외 발해사 연구 동향에 대한 연구서 이 책은 저자가 40년간 발표해 온 발해사 연구를 정리한 마지막 결과물로서, 『발해 정치사 연구』(1995), 『발해 사회문화사 연구』(2011)와 함께 3부작을 이룬다. 이 책에는 연구사에 관한 논문들을 남북국시대론, 국내외 연구 동향, 동북공정으로 나누어 수록하였다. 특히 저자는 연구 결과로서 발해를 ‘고구려를 계승한 외왕내제(外王內帝)의 국가로서, 신라와 함께 남북국을 이루었다.’라고 정의하는데, 앞의 두 책에서는 고구려 계승성과 외왕내제 성격을 규명하였고, 이 책에서는 남북국시대론을 다루었다. 이로써, 발해사가 한국사로서 자리매김하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 평화의 여러 가지 얼굴 / l 발행 2020.08.15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
- 평화에 해당하는 긍적적인 가치를 열두 가지로 세분화해 집중적으로 분석한 책 [평화의 여러 가지 얼굴 Faces of Peace] 평화를 구체화시키려면 평화와 관련한 긍정적 가치를 확대하거나 부정적 요소를 축소시켜야 한다. 평화에 해당하는 긍정적 가치를 확장할수록, 평화를 방해하는 부정적 요소를 축소할수록 평화가 커진다는 뜻이다. 이 책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평화에 해당하는 긍정적인 가치를 열두 가지로 세분화해 집중적으로 분석했다. ① 생태, ② 공정성, ③ 공공성, ④ 신뢰, ⑤ 공존, ⑥ 대화, ⑦ 합의, ⑧ 화해, ⑨ 안보, ⑩ 법치, ⑪ 민주주의, ⑫ 통합이 그것이다.
- 육주약선 육고수권 / l 발행 2020.07.30
- 문학 > 한국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