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고객센터
- 보도자료
보도자료
도서의 서지정보, 소개글, 목차 등 유용한 자료를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검색 868 건 /
전체 868 건
- An Asia Internet History: Second Decade (1991-2000) / l 발행 2015.02.20
- 기술과학 > 공학,공업일반,환경공학
- 는 아시아 지역 인터넷 초기 형성의 역사를 테크놀로지 측면에서 서술한 책으로 2013년 발간된 의 후속작이다. 2011년 말 주저자인 전길남 교수(현 KAIST 명예교수)에 의해 시작된 아시아 인터넷 역사에 대한 저술작업은 초기 아시아-태평양 지역 인터넷 구축에 참여했던 엔지니어 당사자들의 경험, 증언, 그들의 자료를 웹사이트 http://internethistory.asia와 메일링 리스트를 활용하여 수집, 집필함으로써 완성되었다. 아시아 지역 인터넷 네트워크 구성에 대한 방대한 초기 기록을 담은 이 책은 후속 연구자들이 참고할 만한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 유원총보역주 4 / l 발행 2015.02.10
- 총류 > 총류
- 녹내장 / l 발행 2018.10.10
- 기술과학 > 의학,약학,한방의학,보건학,간호학
- 서양건축문화의 이해(신판) / l 발행 2014.12.30
- 기술과학 > 건축공학
- 세계의 현대건축문화는 서양 건축문화의 주도로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건축문화는 인류 최고의 지적 산물이며, 땀과 노력의 결정이며, 삶이 모이고 쌓인 역사의 기록이며 무엇보다 인간의 가장 뛰어난 창조능력의 결과이다. 이런 건축문화는 현재를 살고 있는 모든 사람의 관심 대상이며, 완전하게 알고 있는 이가 없는 것과 동시에 전혀 모르는 이 또한 없는 보편적 문화이다. 이런 까닭에 건축의 역사를 소개하는 개괄서로서 이 책의 재출간이 건축문화에 관심 있는 교양인들에게 의미가 되길 기대한다.
- 독일전설 1 / l 발행 2014.12.30
- 문학 > 독일문학
- 독일전설』의 전체를 완역한 국내 유일본 그림 형제의 저작 중 독자의 사랑을 가장 많이 받은 것은 『어린이와 가정을 위한 동화』(총 2권, 1812, 1815년 출간)이지만, 곧이어 출간된 『독일전설』(총 2권, 1816, 1818년 출간) 역시 독일 문화를 이해하는 토대 자료로서 매우 중요한 저술로 인정받고 있다. 『독일전설』은 독일 각지의 구전되거나 기록된 자료를 집대성함에 있어 편찬자의 개입과 윤문을 최대한 배제하고 독일 민중의 정서와 세계관 및 가치관을 민중의 언어로 기록하였다는 데 큰 가치가 있다. 이 책은 585개 전설을 수록한 『독일전설』의 전체를 완역한 국내 유일본일 뿐만 아니라 해당 분야 전문가에 의해 번역되어 학술적으로도 많이 인용될 책이다.
- 미국신문발달사 / l 발행 2014.12.20
- 총류 > 신문,언론,저널리즘
- 젱거재판(Zenger trial), 페니신문(penny newspaper), 황색신문(yellow newspaper), 조셉 퓰리처(Joseph Pulitzer), 윌리엄 허스트(William R. Hearst), 「뉴욕 타임스」(New York Times), 「워싱턴 포스트」(Washington Post) 등등, 이런 말이나 이름들을 들어 보지 못한 언론전공 학생이나 언론인은 아마도 없을 것이다. 그러나 막상 이들의 역사에 관하여 정확하게 아는 사람들은 그리 많지 않다. 또한 ...
- 동아시아의 농지개혁과 토지혁명 / l 발행 2014.12.15
- 역사,지리,관광 > 아시아사
- 동아시아의 경자유전耕者有田을 ‘농지개혁’과‘토지혁명’으로 유형화하여 비교, 고찰하다 2차 세계대전 후 일본·남한·대만은 유상매수의 농지개혁을 단행하였고 북한·중국·북베트남은 무상몰수의 토지혁명을 단행하였다. 이들은 냉전체제 성립기의 진영대립 속에서도 상호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거의 동시에 각기 자본주의식·사회주의식 산업화의 기반을 제공하였다. 이 책은 두 유형의 경자유전에 대하여 동아시아 차원의 비교 분석을 가하였는데, 이는 전에 없던 도전적 시도이다.
- 한국계급문학운동연구 / l 발행 2014.12.15
- 문학 > 한국문학
- 일본 식민지 시대 계급문학운동은 문학의 성쇠와 그 운명이 사회적 현실과 직결된다고 하는 소박한 ‘경향성의 문학’에서부터 출발하였으며, 민족운동의 사상적 기반의 하나가 되었던 사회주의 이념과 결합하면서 계급투쟁 의식을 강조하는 행동 실천의 문학으로 변화하였다. 계급문학운동은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의 결성과 함께 조직적인 예술운동으로 확대되었으며, 사회운동의 방향전환 이후 과감한 이론투쟁과 대중적 진출을 시도하게 되었다. 이 책은 계급문학운동이 민족사회운동과 어떠한 조직적 연관성을 지니 고 전개되었는가를 탈식민주의적 관점에서 새롭게 검토하는 데에 목표를 두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