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고객센터
- 보도자료
보도자료
도서의 서지정보, 소개글, 목차 등 유용한 자료를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검색 868 건 /
전체 868 건
- 충역의 시비를 정하다: 정변록 역주 / l 발행 2016.09.30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
- 이 책은 규장각 소장본인 『은파산고(恩坡散稿)』 권10~11에 실린 한문본 『정변록』을 쉬운 한글로 옮기고 해제와 주석을 달아 펴낸 책이다. 부록에는 원문도 함께 실었다. 이 책의 역주자들은 조선 중·후기 정치사 내지 정치사상사 전공자들로서, 2015년에 소론 준론(峻論) 입장의 당론서인 『현고기(玄皐記)』를 번역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에서 『사도세자의 죽음과 그 후의 기억』을 냈고, 올해에 다시 노론 시파 입장의 당론서인 『정변록』을 『충역의 시비를 정하다』라는 제목으로 펴내게 되었다.
- 정본완역 소동파시집3 / l 발행 2016.09.05
- 문학 > 중국문학
- 소동파시집 제3책은 왕문고 집주본 권17부터 권23까지의 일곱 권에 수록되어 있는 시 377수를 번역하고 주해한 것이다. 제3책에는 (0713) ․ (0734) ․ (0800)와 같은 시, 와 같은 문장, 와 같은 사(詞) 등 인구에 회자하는 명작들을 많이 탄생시킨, 소식의 문학 생애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시기라고 할 수 있는 황주유배기(黃州流配期)의 시가 고스란히 들어 있기 때문에 그의 시를 분석하는 데에 창작 현장 및 관련 자료에 대한 이해가 더욱이나 주효했다고 생각된다.
-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도입과 한반도 / l 발행 2016.08.30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
- 다층적인 국제정치 역학으로 본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도입 집단적 자위권 자체는 유엔 헌장에도 명시되어 있듯이 어느 나라이든 가지고 있는 권리라고 할 수 있다.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의 도입으로 한중 양국에서 공히 일본이 ‘전쟁을 할 수 있는 나라’로 전환되면서 지역의 안정과 평화를 위협할 수 있는 ‘가해자 국가’로 돌아갈 수 있다는 우려의 소리가 높아졌다. 이 책에 실린 여섯 편의 논문은 복합적이고 복잡한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도입의 국제정치적 역학을 일목요연하게 설명하고자 하였다.
- 조선시대 소설의 생산과 유통 / l 발행 2018.10.30
- 문학 > 한국문학
- 강 넘고 바다 건너: 송기호 교수의 우리역사읽기(7) / l 발행 2022.01.20
- 역사,지리,관광 > 역사일반
- 송기호 교수의 우리역사읽기 마지막 권. 국가 위상과 대외관계를 다루고, 시리즈 전체의 맺음말인 에필로그를 담은 책이다.
- 베이징 스모겟돈 / l 발행 2017.02.25
- 기술과학 > 농업,수의학,수산학
- 중국발 대기오염, 동북아시아를 위협하다 지난 20여 년간 경제성장의 고속도로를 신나게 달려온 중국을 환경오염이 역습하고 있다. 특히 최근 중국 상공을 뒤덮은 오염된 대기는 이웃인 우리나라와 일본에까지 상륙하여 그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출구가 보이지 않는 현재의 상황에서 세계적인 환경 전문가 김성일 교수가 중국 대기오염의 현실을 진단하고 해법을 찾는다. 그는 경제성장과 환경보호는 팽팽히 반목하는 개념이 아니며, 진정한 성장과 미래를 위해 조화롭게 추구해야 할 가치임을 주장한다. 또한 환경문제 해결의 핵심은 타이밍과 지속적 관리에 있으며, 정부의 의지뿐 아니라 전문가들을 포함한, 지속적인 통제력을 발휘할 수 있는 거버넌스 시스템이 중요함을 역설한다.
- Health Politics in Korea / l 발행 2016.05.25
- 사회과학 > 행정학
- "Health Politics in Korea" analyzes the political dynamics of South Korea’s healthcare reform, through the case study on the debate to inaugurate the single payer system of health insurance, which had been practiced for two decades since the early 1980s. During this period, South Korea had undergone unprecedented political and economic turmoils. Through this book, readers wi...
- 아시아, 이주의 중심을 가다 / l 발행 2016.04.15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아시아 이주에서 대표적인 ‘송출국’인 베트남인의 해외노동이주와 국제결혼이주를 중심으로 다루었다. 베트남 여성의 결혼이주의 동기와 송금의 문제, 베트남 현지 언론이 생각하는 결혼이주의 부정적인 이미지, 결혼 생활에 실패하고 귀국한 베트남 여성, 국제결혼이 안고 있는 현실적인 문제 등을 살펴보았다. 또한 필자들은 베트남 현지를 방문하여 ‘성공한 국제결혼’을 꿈꾸는 현지 상황과 실제 ‘수용국’의 현실이 이주여성의 기대와 달라 욕망이 어긋난 상황을 취재한 내용도 수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