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고객센터
- 보도자료
보도자료
도서의 서지정보, 소개글, 목차 등 유용한 자료를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검색 857 건 /
전체 857 건
- 강 넘고 바다 건너: 송기호 교수의 우리역사읽기(7) / l 발행 2022.01.20
- 역사,지리,관광 > 역사일반
- 송기호 교수의 우리역사읽기 마지막 권. 국가 위상과 대외관계를 다루고, 시리즈 전체의 맺음말인 에필로그를 담은 책이다.
- 베이징 스모겟돈 / l 발행 2017.02.25
- 기술과학 > 농업,수의학,수산학
- 중국발 대기오염, 동북아시아를 위협하다 지난 20여 년간 경제성장의 고속도로를 신나게 달려온 중국을 환경오염이 역습하고 있다. 특히 최근 중국 상공을 뒤덮은 오염된 대기는 이웃인 우리나라와 일본에까지 상륙하여 그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출구가 보이지 않는 현재의 상황에서 세계적인 환경 전문가 김성일 교수가 중국 대기오염의 현실을 진단하고 해법을 찾는다. 그는 경제성장과 환경보호는 팽팽히 반목하는 개념이 아니며, 진정한 성장과 미래를 위해 조화롭게 추구해야 할 가치임을 주장한다. 또한 환경문제 해결의 핵심은 타이밍과 지속적 관리에 있으며, 정부의 의지뿐 아니라 전문가들을 포함한, 지속적인 통제력을 발휘할 수 있는 거버넌스 시스템이 중요함을 역설한다.
- Health Politics in Korea / l 발행 2016.05.25
- 사회과학 > 행정학
- "Health Politics in Korea" analyzes the political dynamics of South Korea’s healthcare reform, through the case study on the debate to inaugurate the single payer system of health insurance, which had been practiced for two decades since the early 1980s. During this period, South Korea had undergone unprecedented political and economic turmoils. Through this book, readers wi...
- 아시아, 이주의 중심을 가다 / l 발행 2016.04.15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아시아 이주에서 대표적인 ‘송출국’인 베트남인의 해외노동이주와 국제결혼이주를 중심으로 다루었다. 베트남 여성의 결혼이주의 동기와 송금의 문제, 베트남 현지 언론이 생각하는 결혼이주의 부정적인 이미지, 결혼 생활에 실패하고 귀국한 베트남 여성, 국제결혼이 안고 있는 현실적인 문제 등을 살펴보았다. 또한 필자들은 베트남 현지를 방문하여 ‘성공한 국제결혼’을 꿈꾸는 현지 상황과 실제 ‘수용국’의 현실이 이주여성의 기대와 달라 욕망이 어긋난 상황을 취재한 내용도 수록하였다.
- 통계적 기계 학습 / l 발행 2017.05.26
- 기술과학 > 기계공학,군사공학,원자핵공학
- 최근 10여 년간 다양한 분야에서의 데이터와 이의 활용에 대한 요구의 증가로 기계 학습 방법에 대한 관심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 이 책은 기계 학습 알고리즘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자 하는 학계 및 산업체의 연구자들이 사용할 수 있는 입문서로서, 입문자들이 알고리즘의 기본 원리를 상당히 깊이까지 이해할 수 있도록 쓰인 책이다. 생성적 알고리즘의 기본 원리는 파라미터 추정의 정확성에 대한 원리다. 제한된 양의 데이터를 가지고 파라미터 추정을 할 때 이해해야 할 중요한 이론들의 의미에 대해 이 책은 입문자의 입장에서 직관적이고 정확한 설명을 제공한다. 특별히 이 부분은 한국에서 출판된 기계 학습 서적들에서 관련된 내용을 많이 간과하고 있는 중요한 부분이다.
- 독일 근현대 주거건축 / l 발행 2017.10.15
- 기술과학 > 건축공학
- 이 책은 주거건축에 있어서의 ‘양식의 의미’와 ‘미학의 대상’에 대한 논의로부터 시작되며, 이것이 이론적 배경인 1부를 이룬다. 그리고 2부는 편의상 연대기적으로 서술되어 있다. 하지만 주거라는 분야의 특성상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배경에도 관심을 두지 않을 수 없었기 때문에, 때로는 사회적 요구, 때로는 가족의 요구, 때로는 기술의 요구, 때로는 도시의 요구에 초점을 맞추어 기술하였다. 이를테면 각각의 시기마다 중요시되는 패러다임의 변화가 함께 기술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 한국의 언어 민속지: 충청남북도 편 / l 발행 2017.10.20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이 책은 한국 사회의 전통적이고 특징적인 언어문화의 주요 양상을 전면적으로 발견, 기술하려는 『한국의 언어 민속지』 연구의 넷째 권으로 「충청남북도 편」이다. 연구 대상 지역은 충남 홍성(洪城) 지역(농촌)과 충북 청원(淸原) 지역(산촌)이다. 본문에서는 이 두 지역에서 발달해 온 한국 언어문화의 다채로우면서도 살아 있는 실제의 모습을 언어 현지조사에 바탕하여 정밀하고 체계적으로 기술, 분석한다. 전체적으로 이 책은 지금까지 관련 연구가 거의 없었던 호서(湖西) 지역의 언어문화에 대한 광범하면서도 깊이 있는 기술지이자, 한국 언어인류학 연구의 새로운 장을 여는 작업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