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도서
-
신간
- 하이데거: 존재의 진리를 찾아서
- l초판 2025.02.28
- 철학,심리학,윤리학 > 서양철학
-
-
존재의 빛을 되찾는 철학적 여정
하이데거는 우리가 함부로 다룰 수 없고 오히려 경탄과 경외를 불러일으키는 성스러운 것이 존재하지 않는 세계, 인간을 비롯 한 모든 것이 한갓 기술적으로 처리될 수 있는 자...
- 2025년 2025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
신간
- 관자
- 송영배l초판 2024.12.30
- 철학,심리학,윤리학 > 아시아(동양)철학,사상
-
-
송영배 교수가 번역한 『관자』의 주해서
『관자』 86편 중 현존하는 76편 전체의 원문과 해석, 주를 수록했다.
『관자』는 전통적으로는 관중(기원전 725~기원전 645)의 저작으로 보았으나, 『관자』에는 관...
- 2025년 2025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
신간
- 대전환
- 노의근 외1명l초판 2024.12.30
- 역사,지리,관광 > 유럽사
-
-
14세기에 구세계에서 오랫동안 확립되어 있던 역사적 추세의 궤도로부터 이탈한 일련의 근본적이며 급격한 변화들이 발생했다. 유라시아 대륙을 가로지르던 교류 네트워크가 파괴되었고, 라틴 기독교 세계는 15세...
- 2025년 2025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
신간
- 디지털.AI 전환
- 이병기l초판 2024.10.15
- 기술과학 > 기술과학일반
-
-
21세기 디지털 혁명은 이미 시작되었다
격변하는 세상 속 디지털.AI 기술의 역사와 미래를 동시에 읽을 수 있는 한 권의 바이블
인류사회는 수렵 채취 생활 이후 오랜 세월에 걸쳐 농경사회를 유지해 왔다. ...
- 2025년 2025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
신간
- 19세기 후반 한중관계사론
- 김형종l초판 2024.08.30
- 역사,지리,관광 > 아시아사
-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총서 기초연구시리즈
-
-
이 책에서는 특히 19세기 후반 조선(한국)과 청의 외교적 관계의 특성을 ‘편법’ 외교라는 개념으로 정리하고 있다. 천조상국을 자처하면서 조선을 ‘속국’으로 간주하였던 청은 19세기 중반 이후 서구의 도전 아래...
- 2025년 2025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 몽골 패권하의 고려
- 모리히라 마사히코 외2명l초판 2024.06.30
- 역사,지리,관광 > 아시아사
-
-
광역의 헤게모니와 지역사회의 관계
2000년대 이후 고려-몽골 관계 연구의 부흥을 이끈 이 책은 고려-몽골 관계를 몽골제국 전체의 구조와 작동 원리 속에서 파악하고자 한 연구로서, 몽골제국의 投下 구조, ...
- 2025년 2025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 한국현대문학비평사
- 권영민l초판 2024.05.30
- 문학 > 한국문학
-
-
한국의 문학비평은 어떻게 지금에 이르게 되었는가?
근현대 100년의 역사에서 우리 문학비평을 통시적으로 고찰하다
문학이란 시대정신의 산물이며, 문학비평은 그 정신의 자체적인 척도로서 문학의 본질적...
- 2024년 2024 올해의 우수도서(한국대학출판협회)
2025년 2025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 티파티 운동과 위대한 미국 운동
- 손병권l초판 2024.05.28l발행 2025.01.31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
- 미국학총서
-
-
미국의 비타협적 보수세력이 추구하는 정체성 정치와 사회운동
보수주의 세력의 정체성 정치는 바로 ‘리얼 아메리카’의 주인은 누구이며 그 진정한 주도 이념은 무엇인가를 중심으로 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정...
- 2024년 세종도서 학술부문
- 근대 한국 지식인의 여정
- 이혜경l초판 2024.05.10l발행 2025.01.31
- 철학,심리학,윤리학 > 윤리학,도덕철학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문명지평
-
-
시대의 도덕질서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격동의 시대를 지나던 지식인들의 지고선 탐색기
이 책은 지고선의 변화를 탐색함으로써 근대 전환기 한국에서 일어난 도덕질서의 변화를 추적한다. 유길준, 박은식,...
- 2024년 세종도서 학술부문
2024년 우송철학상
- 한국어 종성 체계의 언어 유형론
- 이진호l초판 2024.02.29l발행 2024.02.29
- 어학 > 한국어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한국학 연구총서
-
-
언어 유형론적 관점에서 바라본 한국어 종성 체계의 보편성
이 책은 한국어의 종성 체계가 언어 유형론적으로 볼 때 어떠한 보편성과 특수성을 가지는지를 다루고 있다. 한국어의 종성 체계는 대체로 특수성이...
- 2024년 2024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 일본 도시 하층 지역에서의 공공적 실천
- 박지환l초판 2024.02.05l발행 2024.02.05
- 사회과학 > 풍속,민속학
- SNU일본연구총서
-
-
가장 소외된 공간에서 만들어 낸 새로운 사회적 연대
이 책은 오사카시 가마가사키에서 있었던 사회운동의 형성과 변용을 민족지적으로 고찰함으로써 현대 일본 사회에 나타난 새로운 공공공간을 탐구한다. 19...
- 2024년 세종도서 학술부문
- 일제강점기 한국민족사(하)
- 신용하l초판 2024.01.20l발행 2024.01.20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
일제강점 후기, 한국의 민족과 사회의 실상을 실증적으로 밝힌 연구서
한국민족은 왜 일제의 ‘혜택’을 거부하고 목숨을 바쳐 투쟁했는가?
일제강점기 한국민족의 역사를 실증적으로 탐구, 서술한 사회학자 ...
- 2024년 2024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 21세기 문화적 경계를 넘어서
- 손민경l초판 2024.01.10l발행 2024.01.10
- 예술 > 음악
-
-
“음악은 인류의 공용어이며, 음악 언어에는 경계와 한계가 없다.”
- 헨리 워즈워스 롱펠로(Henry Wadsworth Longfellow)
이 책에서는 전 지구가 하나의 생활권을 형성하는 글로벌 시대에 일어나는 21세기 서...
- 2024년 2024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 형광학개론
- 천광훈l초판 2023.12.30l발행 2023.12.30
- 기술과학 > 화학공학,식품공학
-
-
아름답고 신비로운 ‘형광’과 그 활용에 대한 입문서
형광현상이란 분자가 빛을 흡수한 후 다른 파장의 빛을 내어놓는 현상이다. 형광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생명과학 분야에서는 GFP(...
- 2024년 2024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 조선여성문학사: 이론과 실제
- 이경하l초판 2023.12.30l발행 2024.10.05
- 문학 > 한국문학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문명지평
-
-
문학사를 통해 바라본 여성의 이야기
이 책은 여성문학사의 일반론을 분석하여 그것을 조선여성문학사에 적용해본 글이다. 한국고전문학과 여성문학사의 ‘가로지르기’를 통해 문학에서 여성이 행사했던 영향력...
- 2024년 2024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 경성학파의 인류학
- 전경수l초판 2023.12.25l발행 2023.12.25
- 사회과학 > 풍속,민속학
-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총서 기초연구시리즈
-
-
준엄한 패전의 ‘상황’에서도 ‘희망’의 화톳불은 타고 있었다
이 책은 제국 일본의 식민지 정책이 실시되었던 조선에서 문화통치 기구의 하나로 자리매김했던 경성제국대학을 다룬다. 고등교육기관의 교육 제도...
- 2024년 2024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 국민과의 창설과 ‘국사’교육
- 김보림l초판 2023.12.05l발행 2023.12.05
- 역사,지리,관광 > 역사일반
- 역사교육연구총서
-
-
일제강점 말기 조선에서의 역사교육
일제강점 말기, 일제의 천황제 국민국가 체제하에서 국민학교 도입과 함께 ‘교과목’ 체제에서 ‘교과 및 과목’ 체제로의 전환이 이루어졌다.
이 책은 이에 주목하여 당시 ‘...
- 2024년 2024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 임진-한탄강 유역 구석기 연구
- 유용욱l초판 2023.11.23l발행 2023.11.23
- 역사,지리,관광 > 아시아사
-
-
임진-한탄강 유역 구석기의 본질적 성격에 대한 보고서
이 책은 저자가 직접 수습하고 지난 35년 동안 꾸준히 연구해 온 임진-한탄강 유역의 실물 고고자료를 중심으로 유물의 ‘인식’과 ‘기술’을 거쳐, 이러한...
- 2024년 2024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 정의로운 도시
- 박인권l초판 2023.09.30l발행 2025.01.30
- 역사,지리,관광 > 지리,관광
-
-
40년간 이어진 ‘도시의 정의’ 연구의 집대성
전 세계 도시계획 연구자와 계획가의 필독서
우리가 살고 있는 도시는 정의로운가?
도시에서 정의란 무엇인가?
국가와 지방정부의 도시 정책은 정의로운가?
...
- 2024년 세종도서 학술부문
- 정본완역 소동파시집5
- 류종목l초판 2023.07.20l발행 2023.07.20
- 문학 > 중국문학
-
-
소동파 사후 천 년, 최초로 탄생한 정갈하고 아름다운 우리말 완역본
《정본완역 소동파시집》 제5책은 왕문고 집주본 《소식시집》 권31부터 권36까지의 여섯 권에 수록되어 있는 시 349수를 류종목 교수(서...
- 2024년 2024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REVIEW
-
This book on applied systems analysis is a real gem! It is packed with technical details yet incredibly welcoming to newcomers and the simply curious. The blend of fundamental theory and hands-on practice makes it super approachable. Each chapter contains real examples and practical exercises that invite us to dive right in. Whether you are building on what you know or just getting started, this book breaks down complex ideas into fun, manageable parts. It is a reliable companion for anyone eager to explore various systems analysis perspectives and make a tangible impact.
-
Systems Analysis stands out as an invaluable resource for experts and novices in research. This comprehensive guide to the essentials of programming, statistics, and systems analysis is enriched with real-world applications and hands-on learning through examples and datasets. Tailored for a broad audience, it offers a unique blend of advanced techniques and accessible content, encouraging readers to develop a systematic perspective. Its practical approach, underscored by popular programming browsers (Jupyter Notebook and Python integration), makes complex concepts graspable for those new to the subject while providing depth for seasoned researchers. A testament to the power of systems thinking in solving real-world problems, this book is a must-read for anyone eager to expand their understanding of systems analysis and its applications across various domains.
-
앞으로의 연구와 저서가 많이 기대됩니다!
-
[리뷰] 정의의 천칭, 그 영점을 다시 맞추다
법을 상징하는 정의의 여신상은 반드시 한 손엔 저울을 들고 있다. 이 저울은 양쪽의 상대적인 무게를 가늠하는 천평칭 저울로서, 개인의 권리관계에 대한 다툼의 해결이자 정의의 상징이다. 그러나 마이크로그램 단위까지 측정하는 미세한 전자저울을 상시 사용하는 과학도가 되면서부터 여신의 저울과 정의에 의문을 품게 되었다. 전자 저울은 한 번 사용할 때마다 0점을 버튼을 눌러 완벽한 평형을 이루도록 만들어야 한다. 그래야만 화학물질의 정확한 값을 측정하여 원하는 화학반응을 이끌어낼 수 있다. 그런데, 상대적인 무게를 가늠하는 천평칭 저울로는 어떻게 권리의 무게를 세심하게 잴 수 있을까. 만일 저울이 잘못 만들어져 있다면 어떠할까. 무게중심이 애초에 기울어 있다면?
“애초에 정의를 가르는 평등의 기준에 오류가 있었다면 어떠할까”. 페미니즘 법학은 유구한 역사의 남성중심적 법학에 반기를 들며, 특히 저울로 대변되는 ‘권리의 평
도서 구입문의
02-889-4424
평일: 오전 09:00 ~ 오후 06:00
점심: 오후 12:00 ~ 오후 01:00
무통장 입금정보
079-01-342071
농협
예금주: 서울대출판문화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