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문화원 인턴 채용 공모
출판문화원에서 인턴을 신규 채용합니다. 내용이 궁금하신 분은 오른쪽의 상세내용보기를 눌러주세요.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도서주문 서점전용
  • 근대한국외교문서 제7권
  • 역사,지리,관광 > 아시아사
  • 근대한국외교문서 편찬위원회 [저] l 초판 2013.11.25 l 발행 2013.11.25
  • 회원리뷰 0
  • 판매가
    73,000
  • 적립금
    3,650원 (5% 적립)
  • 배송비
    0원 (20,000원 이상 배송비 무료)- 주문결재일로부터 3일 이내에 배송됩니다.
    - 기타 산간지방은 다소 늦어질 수 있습니다.
  • 주문수량
바로 구매 관심도서 담기

책소개

상품상세정보
분류 역사,지리,관광 > 아시아사
ISBN 9788952113580
초판발행일 2013.11.25
최근발행일 2013.11.25
면수/판형 624(쪽) /
본 문서집은 한반도의 역사적 현주소를 밝히는 데 중요하다고 판단한 좁은 의미와 넓은 의미의 국내외 외교문서를 망라해 수록하였다. 임오군란은 1882년부터 근 10년 동안 한반도의 국제정치적인 방향을 결정한 중대한 사건이었다. 세계외교사의 흐름 속에서 임오군란을 재조명하는 데 필수적인 자료이다.

--------------
임오군란의 역사적 성격은 세계적인 것, 지역적인 것, 그리고 한반도의 특수적인 것, 세 차원의 문제들이 겹쳐 있다.
19세기는 유럽세계가 세계로 팽창하면서 비유럽세계의 독자성을 부정하고 폭력으로 지배한 독특한 시간(tempo)이다. 이런 점에서 19, 20, 21세기는 동시대적이다. 세계 여러 지역이 공존하였던 16, 17, 18세기와는 판이한 역사적 기간이다. 19세기 이후 유럽세계의 침탈을 받은 비유럽지역들의 저항은 매우 폭력적인 성격을 띠게 마련이다. 임오군란은 이러한 세계적인 현상의 하나이다.
다음으로 임오군란은 동북아의 지역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1880년 이후 한반도 문제는 중앙아시아 문제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임오군란은 서양국제법에서 일컫는 이른바 “국경” 개념의 중국 전파와 연결되었다. 신장(新疆) 문제로 러시아와 긴 협상을 벌이고 있던 쩡지쩌(曾紀澤)는 1880년 5월 27일(음 4월 19일)에 한 상소를 올려 국경 획정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자신이 맡은 교섭은 분계(分界: 국경의 확정), 통상(通商), 상관(償款: 배상금)에 관한 일인데 이 세 가지 중에서 “배상금 문제는 작은 일이고 통상 문제도 분계에 비하면 가벼운 사항이다. 유럽의 조약에서는 오래 지키는 분계에 관한 것과 수시로 변경할 수 있는 통상에 관한 것 두 가지가 있는데 국경이 일단 확정되면 전쟁 수단 이외에는 변경할 수 없으므로 분계에 관한 조약을 체결할 때에는 특히 조심해야 한다.”라고 강조하고 있다.
쩡지쩌의 이 의견은 7월 21일에 황제의 재가를 받아 중국의 정책으로 채택되었다. 이러한 새로운 정책은 중국 본토를 둘러싸고 있는 소속이 불확실한 공간에 대해서는 중국 정부가 직접 관여하지 않는다는 전통적인 기미(羈縻) 정책을 포기하고 중국의 영토를 선(線) 개념에 근거해 재구성한다는 중대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정책 변화는 러시아·몽골·만주 지역에까지 확산되어 중국 주변 지역에 지각 변동이 일어나게 된다. 이것이 임오군란이 발발하자마자 3,000명에 달하는 대병력이 신속하게 한반도에 진출하게 된 배경이었다. 1880년부터 예(禮) 질서의 속방인 조공국을 서양 국제법에서 말하는 속국으로 변경시키려는 정책 변화에 관해서는 『近代韓國外交文書』 수호조약 편 서문에서 필자가 이미 강조한 바 있다. 지난 2003년 이래로 10년 동안 진행되고 있는 중국학계의 이른바 청사공정(淸史工程)의 내용도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끝으로 임오군란이 지니고 있는 한반도의 특수한 성격은 그것이 일본 문제와 연결되어 있다는 점이다. 1876년 강화도조약 이후 한일 무역이 한동안 무관세로 이뤄진 기이한 기간이 있었다. 1876년부터 1882년 사이 조선의 일본 수출 상품 중 80%가 쌀이었는데, 일본과의 무관세 무역으로 말미암아 서울의 쌀값이 1876년에 비해 2, 3배 폭등하는 사태가 발생하였다. 반일적인 성격의 임오군란 발발은 예고된 사태였다. 1882년 당시 일본의 국력으로는 새로운 한반도 정책을 강행하는 중국과 대적할 수 없었다. 이 때문에 일본의 조선정책은 조선의 독립을 지지한다는 화려한 웅변적인 언어 세계에 머물게 되었던 것이다. 당초 일본 국내의 호전적 분위기는 일본 정부의 후퇴로 무마되고, 조선문제의 적극 개입은 미래의 문제로 남겨지게 되었다.
임오군란은 1882년부터 근 10년 동안 한반도의 국제정치적인 방향을 결정한 중대한 사건이었다. 금번에 발간되는 『근대한국외교문서』 제6·7책은 세계외교사의 흐름 속에서 임오군란을 재조명하는 데 필수적인 자료가 되리라 믿는다.
『近代韓國外交文書』 편찬위원장 김용구 (간행사 전문)

1. 본 문서집은 한반도의 역사적 현주소를 밝히는 데 중요하다고 판단한 좁은 의미와 넓은 의미의 국내외 외교문서를 망라해 수록하였다. 좁은 의미의 외교문서는 정부의 토의 문서와 훈령, 외무 담당자들의 교섭 과정 문서documents préaratoires와 왕복 문서, 본국 정부에 발송한 보고문, 그리고 국제조약을 가리킨다. 그리고 넓은 의미의 외교문서는 이 밖에 교섭 담당자들의 회고록이나 문집을 비롯한 개인 문서를 포함한다.
2. 본 문서집의 편집은 주요 열강의 외교문서집 편찬 방식에 따랐다. 주요 국가들은 외교문서를 보관하는 특별 기관을 보유하고 있어서 이 기관의 문서들 중 대외관계에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문서들을 기사본말체로 편집하고 있다.
3. 중요하다고 판단하는 편집자들의 인식이 외교문서집 발간의 국제정치적 성격을 나타내 주고 있다. 대외관계 문서집의 효시인 19세기 각국의 칼라 북스Color Books, 미국의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를 비롯하여 제1차 세계대전 이후 발간되기 시작한 독일의 Grosse Politik der europäschen Kabinette 1871-1914, 소련의 Vneshnaya politika Rossii: XIX i nachala XX beka, 그리고 Dokumenty vneshnei politiki SSSR, 영국의 British Documents on the Origins of the War, 1898-1914(G. P. Gooch & H. Temperley eds.), Documents on British Foreign Policy, 1919-1939(R. Butler & E. L. Woodward eds.), British Documents on Foreign Affairs(K. Bourne & D. C. Watt, eds.), 프랑스의 Documents diplomatiques français 1871-1914, 일본의 『日本外交文書』들이 모두 이런 방식을 취하고 있다. (편집방침 전문)


---------------------------------------------------------------------------------------
『근대한국외교문서』제6-7권(임오군란 편) 보도자료

근대한국외교문서 편찬위원회 전임연구원 김종학
email: eclair77@snu.ac.kr

『근대한국외교문서』 편찬사업은 1864년 고종 원년부터 1910년 국권 상실까지의 개항기 조선 및 대한제국에서 생산한 외교문서와 중국, 일본,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러시아 등 주요 열강의 대조선 정책과 관련된 외교문서를 포괄적으로 정리·발굴·수집하여 세계적으로 학술적 권위를 가지는 근대한국 외교문서집을 편찬하고 발간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외교문서집은 정부 간 상호작용과 외교 행위의 기록물이자 국가 구성원의 대외인식의 정신 구조를 담고 있는 역사적 자료이다. 뿐만 아니라 외교문서집은 단순한 사료집에 그치지 않고 세계 학계에 자국의 외교정책을 제시하는 기본 자료이자 외교관에게는 귀감으로 삼아야 할 지침이 된다. 이 때문에 제1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러시아, 중국, 일본 등 강대국들은 국가사업으로서 경쟁적으로 자국의 공식 외교문서집을 발간해 온 것이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한국에는 아직까지 국제적으로 권위를 가지는 외교사료집이 부재한 실정이다. 본 『근대한국외교문서』편찬사업과 유사한 선행 작업으로는 『舊韓國條約彙纂』(국회도서관, 1964­1965)과 『舊韓國外交文書』(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편, 1972­1974)이 있었지만, 전자는 주요조약문의 번역집에 불과했으며, 후자는 외부(外部)와 서울주재 각국 외교대표부 사이에 왕래한 공문서를 편철(編綴)한 것으로 그 문서의 수록범위나 편찬방식으로 볼 때 많은 한계가 있었다.
외교문서집의 부재는 곧 19세기 국제관계사 연구에서 한국의 주체적인 목소리가 실종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종래 근대한국의 정치외교사를 연구하는 국내외 연구자들은 한반도와 특수한 이해관계를 가졌던 열강들이 편찬한 외교문서집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그런데 주요 강대국들의 외교문서집은 대부분 자국의 국가이익을 변호하고 제국주의 팽창을 정당화하려는 정치적 의도에서 편찬되었고, 강대국의 관점이 강하게 반영되어 있는 까닭에 한국 외교사 연구에서 의미 있는 역사적 교훈을 도출하는 데 한계가 있었습니다. 오늘날 외교정책을 입안하고 실행하는 과정에서 시행착오를 반복하는 것도 이와 무관치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학문상․정책상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한국의 자주적 외교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근대한국 외교의 사실관계를 정확히 이해하고 외교 구상의 성격을 올바르게 파악할 필요가 있다. 그 첫걸음이 정확하고 주체적인 외교문서집의 편찬에 있음은 물론이다.

본 『근대한국외교문서』편찬위원회는 국내의 대표적인 외교사학자 김용구 한림과학원장이 편찬위원장을 맡고 있으며, 김형종(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교수), 김흥수(공군사관학교 인문철학과 교수), 우철구(영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명예교수), 이근욱(서강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장인성(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최덕규(동북아재단), 최덕수(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교수) 등 국내의 저명한 정치외교학, 사학자들이 참여하고 있다. 다양한 전공의 연구자들이 모여 근대한국 외교사에 관한 학제적(inter-disciplinary) 연구를 추진하는 것은 본 편찬위원회의 특징이다. 본 편찬위원회는 2007년에 처음으로 조직되어 2010년에 『근대한국외교문서』제1·2책(병인양요/제너럴셔먼호사건/오페르트사건/신미양요 편), 2012년에 제3·4·5책(조일수호조규/조미수호통상조약/조영수호통상조약)을 출간하였으며, 『근대한국외교문서』제 1-5책은 2013년 한국학술원 사회과학분야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되어 그 학문적 가치를 인정받은 바 있다. 본 편찬사업에는 적지 않은 인건비와 문헌발굴비용이 소요되는 바, 2007년부터 2010년까지는 동북아역사재단, 그 이후로는 한국학술재단 토대기초사업의 지원 하에 진행되고 있다.

금번 출간되는 『근대한국외교문서』제 6·7책은 1882년의 임오군란(壬午軍亂)을 다룬다. 일반적으로 임오군란은 군료(軍料) 미지급과 신식군대 별기군(別技軍)에 대해 불만을 품은 구식군대 군졸들이 일으킨 폭동으로 이해되지만, 그 배후에는 세계적 차원, 지역적 차원, 그리고 한반도의 특수한 차원 등 다양한 구조적 문제가 중층적으로 얽혀 있었다. 첫째, 19세기는 유럽세계가 세계로 팽창하면서 비유럽 세계의 독자성을 부정하고 폭력으로 지배한 독특한 시간(tempo)이었다. 19세기 이후 유럽세계의 침탈을 받은 비유럽지역의 저항은 매우 폭력적인 성격을 띠게 마련이었는데, 임오군란 또한 이러한 세계적 현상의 하나로 이해할 수 있다. 둘째, 1880년 이후 청국은 서양 국제법에서 일컫는 근대적 ‘국경’ 개념을 본격적으로 수용하였다. 이에 따라 청국은 중국 본토를 둘러싸고 있는 불확실한 공간에 대해서는 직접 간여하지 않는다는 전통적 기미(羈縻)정책을 폐기하고, 중국의 영토를 선(線) 개념에 근거해서 재설정하는 정책으로 전환하였다. 임오군란이 발발하자마자 청국이 3,000명에 달하는 대병력을 조선에 파견하고, 이후로도 계속 서울에 주둔시키면서 조선 속국화(屬國化) 정책을 취한 것은 이러한 관념 변화를 배경으로 하는 것이었다. 셋째, 임오군란이 가지고 있는 한반도의 특수한 성격은 그것이 일본과의 무역문제와 연결되어 있다는 점이다. 1876년 강화도조약 체결 이후, 한일 무역이 한동안 무관세로 이뤄진 기이한 기간이 있었는데, 이로 말미암아 1882년 당시 서울의 곡가(穀價)가 1876에 비해 2, 3배 폭등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이러한 점에서 임오군란은 반일적인 성격 또한 내포하고 있었다. 본 편찬위원회에서는 지난 1년 여의 미간문서 발굴, 필기체 해독, 문서 입력, 교정, 편찬 작업을 거쳐 임오군란 관련 조선을 비롯한 중국·일본·미국·영국·프랑스·독일·러시아 문서 486건 및 관계자료 13건을 금번에 출간하게 되었다. 금번 『근대한국외교문서』제 6·7책을 통해 새로 소개되는 이 문건들은 임오군란의 발생배경 및 그 국제정치적 영향에 관해 새롭게 조명할 수 있는 귀중한 사료가 될 것이다. 또한 청국은 조선을 근대 국제법적 의미에서의 속국(屬國)으로 만들기 위해 강력한 정치적 압박을 가하고, 일본은 조선을 청국의 영향 하에서 독립시켜 침략의 기회를 호시탐탐 노리고 있는 상황 속에서, 19세기 조선의 외교당국자들은 국제정세를 어떻게 파악했으며, 또 어떤 외교교섭을 통해 당시 난국을 타개하려 했는지를 실증적으로 밝혀줄 『근대한국외교문서』제 6·7책의 출간은, 오늘날의 착종(錯綜)된 동북아 국제정세를 역사적으로 이해하고 그 해결책을 모색하는 데도 크게 기여할 것이다.

앞으로 본 편찬위원회는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을 통해 2014년에 갑신정변 3책과 거문도사건 2책, 2015년에 청일전쟁 5책을 출간할 예정이다. 그 이후에는 장기적으로 러일전쟁과 국권상실에 관한 외교문서집을 각각 3-5책 분량으로 출간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


편찬위원회 명단


편찬위원장: 김용구(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장)

편찬사업단장: 장인성(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편찬위원:
김형종(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교수)
김흥수(공군사관학교 인문학과 교수)
우철구(영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명예교수)
이근욱(서강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최덕규(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
최덕수(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교수)

전임연구원:
김종학(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객원연구원)
홍문기(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객원연구원)
은정태(역사문제연구소 연구원)
이항준(서울여대 사학과)

연구원:
김안나정은(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박사과정)
김정진(서울대학교 불어불문학과 박사과정 수료)
노진국(서강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석사과정)
민회수(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박사과정 수료)
이지영(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박사과정 수료)
조병식(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박사과정)
하주형(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박사과정)
한동훈(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박사과정 수료)
한보람(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박사과정 수료)
한승훈(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박사과정 수료)
황수경(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석사과정 수료)

목차

간행사
편집방침
범례


1. 미국

1. 일본공사관의 피습 통보 및 군함파견 요청
2. 花房義質의 長崎 복귀 및 조선 재파견 보고
3. Monocacy 호의 조선파견 건의
4. 미국의 중재 제의
5. 군란의 경과보고 및 왕복문서 송달
6. 吉田淸成의 일본·미국·영국의 협력 제안 보고
7. 大院君 집권 및 明成王后 弑害 풍문 보고
8. Cotton의 조선활동 및 大院君 압송 보고
9. 일본 배상금 요구의 평화적 타결 전망 보고
10. 丁汝昌과의 회견 보고
11. 濟物浦條約 및 朝日修好條規續約 전달
12. 일본 배상 요구의 평화적 타결 보고
13. 總署에서의 배상금 관련 회견 보고
14. 임오군란의 원인 및 수습 경과에 관한 보고
15. 청의 宗主權 주장에 관한 보고
16. 朴泳孝와의 朝美條約 비준 관련 회견 보고
17. 朝淸商民水陸貿易章程 내용 분석
18. Holcombe의 memorandum 송달 및 朝美條約 비준 건의
19. 井上馨의 조선 독립국화 제안
20. 조선 부임 전 추가훈령
21. Möllendorff의 조선 부임 보고
22. 조・청 관계에 대한 의견
23. 조선문제 개입 자제 훈령
24. Foote 공사의 横浜 도착 보고
25. Foote의 天皇 및 黎庶昌 회견 보고


2. 영국

26. 일본공사관 피습 보고
27. 花房義質의 仁川 退去 및 井上馨의 下關 출장 보고
28. 大院君 집정 보고
29. 군란의 발생 배경 보고
30. 花房義質과 호위군대의 조선파견 보고
31. Wade와 Willes에게 보낸 공문 송달
32. 청국의 조선파병 보고
33. 청국파병에 대한 일본의 반감 보고
34. Flying Fish 호의 조선정세 탐지 보고
35. 井上馨 회담 보고
36. 總署 회담 보고
37. 張樹聲, 羅豐祿 회견 보고
38. 청국파병에 대한 일본의 대응
39. Aston의 조선행 보고
40. 花房義質-馬建忠 회담기록 송달
41. 배상금 문제 타결 보고
42. 濟物浦條約 및 朝日修好條規續約 체결 보고
43. 조선 독립 승인에 관한 일본 정부의 관심
44. 조약 체결 및 일본군 주둔에 관한 재보고
45. 濟物浦條約 및 朝日修好條規續約 체결 보고
46. 청의 군란 대처 및 大院君 압송 보고
47. 井上馨 회담 보고
48. 조선 開戰論에 관한 『日日新聞』의 기사 송달
49. 조선의 조약 이행 의사 보고
50. 濟物浦條約·朝日修好條規續約 및 척화비 철거 기사 등 보고
51. 明成王后 생환 등 조선 소식 보고
52. 『日日新聞』·『報知新聞』의 조선 관련 기사 송달
53. 군란 평정 및 조영 관계 정상화 보고
54. 청 황제의 군란 관련 詔勅 송달
55. 수신사 朴泳孝의 일본 도착 보고
56. Aston의 조선 출장 보고서 송달
57. Parkes-閔泳翊 회견 보고
58. 高宗의 咨文 보고
59. 조선 측 사과에 대한 일본 정부의 반응
60. Parkes-閔泳翊·金玉均 회견 보고
61. Aston의 修信使 통역 업무 보고
62. 朝美條約 비준 난항 및 러시아의 조약 체결 움직임 보고
63. 『神戸新報』의 조선 관련 기사 및 주한 청군의 규율 보고
64. 조·러 국경 문제 보고
65. 朝淸商民水陸貿易章程 체결 보고
66. 高宗의 포고문 등 보고
67. 朝日修好條規續約 및 비준서 송달
68. 朝淸商民水陸貿易章程에 관한 朴泳孝의 언급 보고
69. 일본의 차관 공여 및 관세 관련 보고


3. 독일

70. 주한 일본공사관 피습
71. 임오군란과 朝獨條約 관련 보고
72. 독일 해군의 군란 대응
73. 군란 진행상황 보고
74. 군란의 진행상황과 청국의 대응
75. 청국함대의 조선파견
76. 동아시아 정세 전달
77. 조선에 대한 일본과 청국의 대응
78. 大院君의 정권 장악과 청국의 출병 준비 보고
79. 청국 野砲의 조선 배치
80. 임오군란 원인분석
81. 임오군란의 원인분석 및 러시아의 입장
82. 李鴻章의 업무 복귀와 조선정책
83. 花房義質의 서울 도착
84. 청국 군대의 牙山灣 상륙
85. 청국 신문의 임오군란 기사 보고
86. 조선에 대한 일본의 요구조건
87. 청국의 조선 관련 신문기사와 李鴻章의 행적
88. 大院君의 天津 도착과 조선 왕실의 상황
89. 청·일 군대의 서울 주둔상황
90. 大院君의 天津 幽閉와 일본의 대응
91. 李鴻章의 天津 복귀
92. 조선정세에 관한 청국 신문기사 보고
93. 濟物浦條約 체결 및 청국의 입장
94. 大院君 압송 및 청국 신문기사 보고
95. 大院君 압송 및 濟物浦條約 내용 보고
96. 일본의 보상 요구에 대한 李鴻章의 입장
97. 조선유생 白樂寬의 척사 상소 보고
98. 大院君과 明成王后의 알력 보고
99. 趙寧夏·金弘集 회담 보고
100. 榎本武揚의 청국파견 보고
101. 大院君 幽閉 관련 청국 황제 上諭 등 보고
102. 趙寧夏·金弘集 내방 보고
103. 청국 황제의 칙령에 대한 일본 측 불만
104. 조선상황 보고
105. 高宗의 개혁 의지 및 明成王后 생존 등 보고
106. 明成王后 생존 보고
107. 수신사의 渡日과 國書 전달 보고
108. 淸國의 차관 공여 및 Möllendorff 파견 보고


4. 프랑스

109. 주한 일본공사관 피습 보고
110. 임오군란 발발 보고
111. 임오군란 발발 보고
112. 일본공사관 피습 경위
113. 청국의 개입 및 대일협력 의지 보고
114. 군란 직후 청·일의 군사 조치 보고
115. 프랑스 사절단 호위 함대파견
116. 함대파견 요청에 대한 응답
117. 군란 발발과 일본의 전쟁 준비 보고서 송달
118. 군란 후 일본의 동정
119. 朝佛條約 및 조청 관계에 관한 보고
120. 朝佛條約 협상 중단 통보
121. 군란 사후처리에 관한 일본의 요구
122. 朝佛條約 협상 전권 부여
123. 朝佛條約 협상 재개 의견
124. 濟物浦條約 비준 교환 및 조선 사절단 회담 보고
125. 조선의 독립 인정 문제에 관한 보고
126. 朝佛條約 협상 중단 통보
127. 청군 주둔 문제에 관한 Tricou-井上馨 회담
128. 청국의 조선 개입과 安南 문제
129. 청·조선에서의 치외법권에 관한 天皇 칙령 전달
130. 청국의 조선정책과 安南 문제
131. Aston에게서 입수한 조선정세
132. 조·청 관계의 기원 및 주변 정세 보고
133. 군란 전후 조선과 조・청, 조·일 관계


5. 러시아

134. 임오군란 발발 보고
135. 花房義質-馬建忠 회담 보고
136. 청국의 군사 개입 보고
137. 濟物浦條約 보고
138. 청국의 개입에 대한 일본의 입장 보고
139. 군란 사후처리 및 大院君 被拉 보고


關係資料

1. Robert 문서(Robert Hart Papers)의 임오군란 및 조선 稅關 관련문서
2. Satow 일기(Ernest M. Satow Diaries)의 임오군란 관련문서
3. 일본 외무성의 朝美修好條約 인식에 관한 Parkes 보고서


약어표
문서 목록

기타안내

교환/반품/품절안내
배송안내 - 주문결재일로부터 3일 이내에 배송됩니다.
- 기타 도서, 산간지방은 다소 늦어질 수 있습니다.
반품/교환 - 마이페이지 >주문조회 에서 반품 / 교환 신청을 하시거나 고객센터 1:1 게시판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변심반품의 경우 수령 후 7일 이내,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점 발견 후 30일 이내
반품/교환비용 변심 혹은 구매착오로 인한 반품/교환은 반송료 고객 부담
반품/교환 불가 사유 - 소비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손실 또는 훼손된 경우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1)해외주문도서)
-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상품 품절 재고 사정에 의해 품절/지연될 수 있으며, 품절 시 관련 사항에 대해서는 이메일과 문자로 안내드리겠습니다.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
- 상품의 불량에 의한 교환, A/S, 환불, 품질보증 및 피해보상 등에 관한 사항은 소비자분쟁해결 기준 (공정거래위원회 고시)에 준하여 처리됨
-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REVIEW
도서 구입문의

02-889-4424

평일: 오전 09:00 ~ 오후 06:00
점심: 오후 12:00 ~ 오후 01:00
무통장 입금정보

079-01-342071

농협
예금주: 서울대출판문화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