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한시
- 문학 > 중국문학
- 송용준 [저] l 초판 2014.10.25 l 발행 2022.10.31
- 회원리뷰 0건
책소개
분류 | 문학 > 중국문학 |
---|---|
ISBN | 9788952115775 |
초판발행일 | 2014.10.25 |
최근발행일 | 2022.10.31 |
면수/판형 | 624(쪽) / 신국판[153*225] |
중국 한대(漢代)에서 청대(淸代)에 이르는 2,100여 년 동안 중국인들이 창작하여 지금까지 전해 내려오는 한시는 어림잡아 100만 수가 넘을 것이기 때문에 평생을 읽어도 일독이 어려울 정도로 그 양이 어마어마하다. […] 사정이 이러하니 중국 한시를 읽고 연구하여 가치를 판단하고 위상을 자리매김하여 그 흐름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작업이 쉽게 이루어질 리 없다. 중국과 일본에서는 몇몇 대가들이 『중국시사(中國詩史)』를 써내기도 했지만 아직 만족스러운 수준은 아니다. 가장 큰 이유는 원시(元詩)·명시(明詩)·청시(淸詩)에 대한 연구가 아직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20세기 후반에 들어와 원·명·청시에 대한 연구가 축적되면서 그 가치와 위상을 재평가하는 시도가 있기는 했지만 당시(唐詩)와 송시(宋詩)의 연구 수준에 이르려면 아직 갈 길이 멀다. […] 필자는 이 책을 통해 그동안 축적된 한국과 중국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한대(漢代)에서 청대(淸代)에 이르는 중국 한시의 흐름을 개괄하고, 각 조대를 대표할 수 있는 시인과 시를 선별하여 번역과 주석을 달고 해설하였다. 편폭의 제한 때문에 시를 충분하게 수록하지는 못했지만, 그 대신 독자들이 중국 한시를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주석과 해설을 상세하고 친절하게 달았다.
목차
머리말
해제 │ 중국 한시의 감상을 위하여
•팔대시(八代詩)의 전개 과정
•당시(唐詩)의 형성 과정
•송시(宋詩)의 형성 과정
•원명시(元明詩)의 전개 과정
•청시(淸詩)의 전개 과정
한대 시
•東門行(동문의 노래)
•戰城南(성곽의 남쪽에서 싸웠지요)
•上邪(하늘이여)
•垓下歌(해하가)
•大風歌(대풍가)
•秋風辭(추풍사)
•行行重行行(가고 가고 또 가고 가니)
•迢迢牽牛星(아득히 멀리 있는 견우성)
•凜凜歲云暮(쌀쌀한 가운데 한 해는 저물고)
•上山采靡蕪(산에 올라가 궁궁이 싹을 캐고서)
•十五從軍征(열다섯에 징집되어 군대 갔다가)
•步出城東門(성의 동쪽 문으로 걸어 나가서)
위진남북조 시
•채염(蔡琰): 悲憤詩(슬픔과 한)
•조조(曹操): 短歌行(단가행)
•조비(曹丕): 燕歌行(연가행)
•조식(曹植): 贈徐幹(서간께 드리다) | 七哀詩(칠애시) | 白馬篇(백마편)
•유정(劉楨): 贈從弟三首(사촌 동생에게 주다)
•완적(阮籍): 詠懷(회포)
•좌사(左思): 詠史其一(영사 제1수)
•도연명(陶淵明): 歸園田居其一(전원으로 돌아와 제1수) | 讀山海經其一(『산해경』을 읽으며 제1수) | 飮酒(음주) | 形影神三首幷序(몸과 그림자와 정신 3수 및 서문) | 詠荊軻(형가를 노래하며) | 桃花源詩幷記(도화원 시와 기문)
•子夜歌三首(자야가)
•隔谷歌(격곡가)
•사영운(謝靈運): 登池上樓(못가의 누각에 올라)
•포조(鮑照): 擬行路難其一(<행로난>을 본떠서 제1수) | 擬古其六(고시를 본떠서 제6수)
•육개(陸凱): 贈范曄(범엽에게)
•사조(謝脁): 之宣城郡出新林浦向板橋(선성군에 가려고 신림포를 나와서 판교를 향해 가다가)
•오균(吳均): 贈王桂陽(왕계양께)
당시
•노조린(盧照隣): 長安古意(장안에서 옛일을 생각하며)
•낙빈왕(駱賓王): 在獄詠蟬(옥중에서 매미 소리를 듣고)
•왕발(王勃): 送杜少府之任蜀州(촉주로 부임하는 두 소부를 전송하며)
•하지장(賀知章): 回鄕偶書其一(고향으로 돌아와서 제1수)
•진자앙(陳子昻): 登幽州臺歌(유주의 누대에 올라) | 感遇(살아가며 보고 느낀 것)
•두심언(杜審言): 渡湘江(상강을 건너며) | 和晉陵陸丞早春遊望(진릉현승 육씨의 <이른 봄나들이>에 화답하여) | 夏日過鄭七山齋(여름날 정칠의 산중 서재에 들러서)
•송지문(宋之問): 渡漢江(한강을 건너며) | 陸渾山莊(육혼산의 산장)
•심전기(沈佺期): 雜詩四首其四(잡시 제4수) | 古意呈補闕喬知之(옛 시의를 본떠 보궐 교지지께 드림)
•장열(張說): 蜀道後期(촉도후기) | 送梁六自洞庭山作(양륙을 전송하며 동정산에서 짓다)
•장약허(張若虛): 春江花月夜(봄 강의 꽃피고 달 밝은 밤)
•장구령(張九齡): 望月懷遠(달밤에 임 그리며)
•왕만(王灣): 次北固山下(북고산 아래서 묵으며)
•왕한(王翰): 凉州詞(양주사)
•왕지환(王之渙): 登鸛雀樓(관작루에 올라)
•맹호연(孟浩然): 春曉(봄날 아침) | 宿建德江(건덕강 가에 묵으며)
•왕창령(王昌齡): 閨怨(젊은 아낙의 회한) | 從軍行其四(종군의 노래 제4수) | 出塞(변경으로 나가서)
•조영(祖咏): 終南望餘雪(종남산에 쌓인 눈을 바라보며)
•상건(常建): 題破山寺後禪院(파산사 뒤의 암자)
•왕유(王維): 雜詩(고향의 매화) | 鹿柴(사슴 울짱) | 山居秋暝(가을 저녁 산속 거처에서)
•이백(李白): 獨坐敬亭山(홀로 경정산에 앉아) | 山中問答(산속에 사는 이유) | 山中與幽人對酌(산속에서 은자와 대작하며) | 玉階怨(달빛 아래 섬돌에서의 한) | 月下獨酌四首其一(달빛 아래 홀로 술 마시며 제1수) | 將進酒(술 한잔 받으시게)
•최호(崔顥): 黃鶴樓(황학루)
•유장경(劉長卿): 尋南溪常山道人隱居(상산도인의 은거지를 찾아)
•두보(杜甫): 月夜(달밤) | 旅夜書懷(밤배 타고 가는 나그네) | 送路六侍御入朝(조정으로 들어가는 노 시어를 전송하며) | 春望(봄날 장안성을 바라보며) | 秋興八首(가을을 맞아 심경을 토로하다) | 登高(높은 곳에 올라) | 江漢(장강과 한수) | 石壕吏(석호의 관리) | 茅屋爲秋風所破歌(초가가 가을바람에 파괴되어)
•잠삼(岑參): 山房春事(산에서의 봄맞이)
•장계(張繼): 楓橋夜泊(풍교에서 묵으며)
•전기(錢起): 省試湘靈鼓瑟(진사 시험 제목 ‘상수의 영령이 슬을 타다’)
•위응물(韋應物): 滁州西澗(저주의 서쪽 시냇가에서)
•맹교(孟郊): 遊子吟(집 떠난 나그네)
•한유(韓愈): 左遷至藍關示姪孫湘(좌천 길에 남관에 이르러 종손 상에게) | 落齒(빠지는 이)
•장적(張籍): 秋思(가을에 이는 그리움)
•유우석(劉禹錫): 秋詞(가을 노래) | 烏衣巷(오의항)
•백거이(白居易): 問劉十九(여보게 한잔 어떠신가) | 大林寺桃花(대림사의 복사꽃) | 感情(정을 느껴서) | 杜陵叟(두릉의 노인)
•유종원(柳宗元): 江雪(눈 내리는 강) | 溪居(시냇가에 살며)
•가도(賈島): 尋隱者不遇(만나지 못한 은자)
•이하(李賀): 秋來(가을을 맞이하여) | 夢天(꿈에 하늘에서)
•두목(杜牧): 山行(산행) | 贈別(그대를 떠나며) | 九日齊山登高(중양절 제산에 올라)
•이상은(李商隱): 夜雨寄北(밤비 내리는 날 북녘의 그대에게) | 錦瑟(지난 세월) | 無題(무제)
•온정균(溫庭筠): 商山早行(상산의 새벽 길)
송시
•왕우칭(王禹偁): 日長簡仲咸(긴긴 날 중함에게 보내는 편지) | 村行(시골길)
•임포(林逋): 山園小梅(동산의 작은 매화)
•양억(楊億): 南朝(남조)
•범중엄(范仲淹): 江上漁者(강 위의 어부)
•유영(柳永): 煮海歌(바닷물 달이는 노래)
•안수(晏殊): 寓意(마음을 기탁하며)
•송기(宋祁): 落花二首其一(낙화 제1수)
•매요신(梅堯臣): 陶者(기와 굽는 이) | 魯山山行(노산의 산길) | 悼亡三首其一(죽은 아내를 애도하며 제1수)
八月九日晨興如厠有鴉啄蛆(8월 9일 새벽에 일어나 변소에 갔더니 까마귀가 구더기를 쪼아 먹고 있었다)
•구양수(歐陽修): 戱答元珍(정보신에게 장난삼아 답하여) | 學書二首其二(서예를 익히다가 제2수) | 明妃曲和王介甫(왕안석의 〈명비곡〉에 화답하여)
•소순흠(蘇舜欽): 淮中晩泊犢頭(회하 여행 중 날이 저물어 독두에 배를 대고) | 慶州敗(경주에서의 패배)
•소옹(邵雍): 首尾吟其七十八(수미음 제78수)
•왕안석(王安石): 書湖陰先生壁二首其一(호음선생 댁 벽에 쓰다 제1수) | 泊船瓜洲(과주에 배를 대고) | 强起(억지로 일어나서)
•왕영(王令): 暑旱苦熱(여름 가뭄의 고통스런 더위)
•소식(蘇軾): 和子由澠池懷舊(자유의 〈면지회구〉 시에 화답하여) | 潁州初別子由二首其二(영주에서 자유와 이별하며 제2수) | 出潁口初見淮山是日至壽州(영구를 떠난 후 비로소 회산이 보이니 오늘 수주에 도착하겠다) | 小兒(어린아이) | 寒食雨(한식날의 비) | 題西林壁(서림사 벽에 쓰다)
•황정견(黃庭堅): 和答錢穆父詠猩猩毛筆(전협의 <성성모필> 시에 화답하여) | 次韻裴仲謀同年(동기생 배중모의 시에 차운하여) | 雙井茶送子瞻(쌍정차를 자첨께 보내며) | 次韻子瞻和子由觀韓幹馬因論伯時畵天馬(자첨이 자유의 〈한간이 그린 말을 보고〉 시에 화답한 것에 차운하여 이공린이 그린 천마를 논함)
•진관(秦觀): 春日五首其二(봄날 제2수)
•진사도(陳師道): 別三子(아들딸과 이별하고) | 絶句四首其四(세상사 제4수) | 春懷示隣里(춘심을 써서 이웃에게 보이다)
•진여의(陳與義): 襄邑道中(양읍 가는 길에) | 雨晴(비가 개서)
登岳陽樓二首其一(악양루에 올라 제1수)
•육유(陸游): 夜讀兵書(밤에 병서를 읽다가) | 乾明院觀畵(건명원에서 그림을 보고) | 沈園二首(심원) | 示兒(아들들에게)
•범성대(范成大): 催租行(세금 독촉의 노래) | 春日田園雜興十二絶其二(춘일전원잡흥 제2수) | 秋日田園雜興十二絶其九(추일전원잡흥 제9수)
•양만리(楊萬里): 湖天暮景(호수의 석양) | 桑茶坑道中八首(상다갱의 길 가운데서)) | 道傍店(길옆 가게)
•주희(朱熹): 觀書有感二首其一(책을 보다가 느낌이 일어서 제1수)
•유극장(劉克莊): 戊辰卽事(무진년의 즉흥시)
•문천상(文天祥): 正氣歌(정기가)
원명시
•원호문(元好問): 岐陽三首其二(기산의 남쪽 제2수) | 遊黃華山(황화산 유람) | 論詩三十首其二十六(논시 제26수)
•유인(劉因): 白溝(백구) | 半世(반평생)
•조맹부(趙孟頫): 岳鄂王墓(악왕 악비의 묘)
•게혜사(揭傒斯): 別武昌(무창을 떠나며)
•양유정(楊維楨): 西湖竹枝歌其四(서호죽지가 제4수) | 鴻門會(홍문에서의 연회) | 花游曲(꽃놀이 노래)
•살도랄(薩都剌): 西湖絶句六首其四(서호에서 제4수) | 芙蓉曲(연꽃)
•고계(高啓): 得家書(아내의 편지를 받고) | 梅花九首其一(매화 제1수) | 賣花詞(꽃 사세요) | 我愁(나의 슬픔)
•이동양(李東陽): 夜過邵伯湖(밤에 소백호를 지나며) | 南囿秋風(남유의 가을바람) | 重經西涯(거듭 서애를 지나며)
•이몽양(李夢陽): 夏登汴城東樓(여름날 변성의 동쪽 누각에 올라) | 遊金山其一(금산에 가서 제1수) | 述憤十七首其十一(번민을 술회하며 제11수)
•서정경(徐禎卿): 濟上作(제수 가에서)
•하경명(何景明): 答望之三首其一(매부 망지에게 제1수)
•양신(楊愼): 興敎寺海棠(흥교사 해당화) | 武侯廟(무후 제갈양의 사당)
•사진(謝榛): 秋興四首其四(가을에 이는 감흥 제4수)
•이반룡(李攀龍): 與元美登郡樓(원미와 함께 군루에 올라) | 白雪樓(백설루) | 古詩後十九首其二(고시후십구수 제2수)
•서위(徐渭): 春日過宋諸陵(봄날 송의 여러 황릉을 찾아가서)
•왕세정(王世貞): 寄于鱗(우린에게) | 酹孫太初墓(손일원의 묘에 술을 따르며) | 戚將軍贈寶劍二首其一(척 장군이 보검을 주시어 제1수)
•원굉도(袁宏道): 聞省城急報(우리 무창성의 급보를 듣고)
•종성(鐘惺): 江行俳體其二(장강을 지나가며 유희체로 제2수)
•담원춘(譚元春): 甁梅(화병 속의 매화)
청시
•전겸익(錢謙益): 河間城外柳二首其一(하간성 밖의 버드나무 제1수) | 無花(꽃도 없이) | 和盛集陶落葉其二(성집도의 〈낙엽〉 시에 화답하여 제2수) | 西湖雜感二十首其三(서호에서의 감회 제3수)
•오위업(吳偉業): 梅村(매화 마을) | 自歎(스스로를 한탄하다) | 圓圓曲(진원원의 노래)
•고염무(顧炎武): 秋山二首其一(가을 산 제1수)
•주이준(朱彝尊): 來靑軒(내청헌) | 雲中至日(운중의 동지) | 玉帶生歌(옥대생의 노래)
•굴대균(屈大均): 塞上感懷(변새에서의 감회)
•왕사진(王士禛): 秦淮雜詩十四首其一(진회에서 지은 잡시 제1수) | 秋柳四首其一(가을 버드나무 제1수) | 曉雨後登燕子磯絶頂(새벽 비 내린 후에 연자기 꼭대기에 올라)
•사신행(査愼行): 渡百里湖(백리호를 건너다) | 重過齊天坡(다시 제천파를 지나며) | 舟夜書所見(밤에 배에서 본 것을 적다)
•조집신(趙執信): 甿入城行(성에 들어간 농부)
•심덕잠(沈德潛): 月夜渡江(달밤에 장강을 건너며)
•여악(厲鶚): 曉登韜光絶頂(새벽에 도광사 산정에 올라) | 歸舟江行望燕子磯作(장강을 따라 돌아오는 배에서 연자기를 바라보며)
•정섭(鄭燮): 偶然作(우연히 짓다) | 揚州四首其三(양주 제3수)
•원매(袁枚): 苔(이끼) | 馬嵬四首其二(마외 제2수) | 詠錢(돈을 노래하다)
•장사전(蔣士銓): 漂母祠(빨래 아낙의 사당)
•조익(趙翼): 論詩其三(시를 논하다 제3수) | 後園居詩其四(다시 쓴 <원거> 시 제4수)
•옹방강(翁方綱): 望羅浮(나부산을 바라보며)
•황경인(黃景仁): 耒陽杜子美墓(뇌양의 두보 묘에서) | 都門秋思其三(도문에서의 가을 생각 제3수) | 癸巳除夕偶成二首(계사년 섣달 그믐밤에 우연히 쓰다)
•공자진(龔自珍): 詠史(영사) | 己亥雜詩其五(기해잡시 제5수)
•황준헌(黃遵憲): 雜感五首其二(이런저런 생각 제2수) | 紀事八首其三(대통령 선거를 기술하다 제3수)
찾아보기(작가)
찾아보기(작품)
문명총서 발간사
해제 │ 중국 한시의 감상을 위하여
•팔대시(八代詩)의 전개 과정
•당시(唐詩)의 형성 과정
•송시(宋詩)의 형성 과정
•원명시(元明詩)의 전개 과정
•청시(淸詩)의 전개 과정
한대 시
•東門行(동문의 노래)
•戰城南(성곽의 남쪽에서 싸웠지요)
•上邪(하늘이여)
•垓下歌(해하가)
•大風歌(대풍가)
•秋風辭(추풍사)
•行行重行行(가고 가고 또 가고 가니)
•迢迢牽牛星(아득히 멀리 있는 견우성)
•凜凜歲云暮(쌀쌀한 가운데 한 해는 저물고)
•上山采靡蕪(산에 올라가 궁궁이 싹을 캐고서)
•十五從軍征(열다섯에 징집되어 군대 갔다가)
•步出城東門(성의 동쪽 문으로 걸어 나가서)
위진남북조 시
•채염(蔡琰): 悲憤詩(슬픔과 한)
•조조(曹操): 短歌行(단가행)
•조비(曹丕): 燕歌行(연가행)
•조식(曹植): 贈徐幹(서간께 드리다) | 七哀詩(칠애시) | 白馬篇(백마편)
•유정(劉楨): 贈從弟三首(사촌 동생에게 주다)
•완적(阮籍): 詠懷(회포)
•좌사(左思): 詠史其一(영사 제1수)
•도연명(陶淵明): 歸園田居其一(전원으로 돌아와 제1수) | 讀山海經其一(『산해경』을 읽으며 제1수) | 飮酒(음주) | 形影神三首幷序(몸과 그림자와 정신 3수 및 서문) | 詠荊軻(형가를 노래하며) | 桃花源詩幷記(도화원 시와 기문)
•子夜歌三首(자야가)
•隔谷歌(격곡가)
•사영운(謝靈運): 登池上樓(못가의 누각에 올라)
•포조(鮑照): 擬行路難其一(<행로난>을 본떠서 제1수) | 擬古其六(고시를 본떠서 제6수)
•육개(陸凱): 贈范曄(범엽에게)
•사조(謝脁): 之宣城郡出新林浦向板橋(선성군에 가려고 신림포를 나와서 판교를 향해 가다가)
•오균(吳均): 贈王桂陽(왕계양께)
당시
•노조린(盧照隣): 長安古意(장안에서 옛일을 생각하며)
•낙빈왕(駱賓王): 在獄詠蟬(옥중에서 매미 소리를 듣고)
•왕발(王勃): 送杜少府之任蜀州(촉주로 부임하는 두 소부를 전송하며)
•하지장(賀知章): 回鄕偶書其一(고향으로 돌아와서 제1수)
•진자앙(陳子昻): 登幽州臺歌(유주의 누대에 올라) | 感遇(살아가며 보고 느낀 것)
•두심언(杜審言): 渡湘江(상강을 건너며) | 和晉陵陸丞早春遊望(진릉현승 육씨의 <이른 봄나들이>에 화답하여) | 夏日過鄭七山齋(여름날 정칠의 산중 서재에 들러서)
•송지문(宋之問): 渡漢江(한강을 건너며) | 陸渾山莊(육혼산의 산장)
•심전기(沈佺期): 雜詩四首其四(잡시 제4수) | 古意呈補闕喬知之(옛 시의를 본떠 보궐 교지지께 드림)
•장열(張說): 蜀道後期(촉도후기) | 送梁六自洞庭山作(양륙을 전송하며 동정산에서 짓다)
•장약허(張若虛): 春江花月夜(봄 강의 꽃피고 달 밝은 밤)
•장구령(張九齡): 望月懷遠(달밤에 임 그리며)
•왕만(王灣): 次北固山下(북고산 아래서 묵으며)
•왕한(王翰): 凉州詞(양주사)
•왕지환(王之渙): 登鸛雀樓(관작루에 올라)
•맹호연(孟浩然): 春曉(봄날 아침) | 宿建德江(건덕강 가에 묵으며)
•왕창령(王昌齡): 閨怨(젊은 아낙의 회한) | 從軍行其四(종군의 노래 제4수) | 出塞(변경으로 나가서)
•조영(祖咏): 終南望餘雪(종남산에 쌓인 눈을 바라보며)
•상건(常建): 題破山寺後禪院(파산사 뒤의 암자)
•왕유(王維): 雜詩(고향의 매화) | 鹿柴(사슴 울짱) | 山居秋暝(가을 저녁 산속 거처에서)
•이백(李白): 獨坐敬亭山(홀로 경정산에 앉아) | 山中問答(산속에 사는 이유) | 山中與幽人對酌(산속에서 은자와 대작하며) | 玉階怨(달빛 아래 섬돌에서의 한) | 月下獨酌四首其一(달빛 아래 홀로 술 마시며 제1수) | 將進酒(술 한잔 받으시게)
•최호(崔顥): 黃鶴樓(황학루)
•유장경(劉長卿): 尋南溪常山道人隱居(상산도인의 은거지를 찾아)
•두보(杜甫): 月夜(달밤) | 旅夜書懷(밤배 타고 가는 나그네) | 送路六侍御入朝(조정으로 들어가는 노 시어를 전송하며) | 春望(봄날 장안성을 바라보며) | 秋興八首(가을을 맞아 심경을 토로하다) | 登高(높은 곳에 올라) | 江漢(장강과 한수) | 石壕吏(석호의 관리) | 茅屋爲秋風所破歌(초가가 가을바람에 파괴되어)
•잠삼(岑參): 山房春事(산에서의 봄맞이)
•장계(張繼): 楓橋夜泊(풍교에서 묵으며)
•전기(錢起): 省試湘靈鼓瑟(진사 시험 제목 ‘상수의 영령이 슬을 타다’)
•위응물(韋應物): 滁州西澗(저주의 서쪽 시냇가에서)
•맹교(孟郊): 遊子吟(집 떠난 나그네)
•한유(韓愈): 左遷至藍關示姪孫湘(좌천 길에 남관에 이르러 종손 상에게) | 落齒(빠지는 이)
•장적(張籍): 秋思(가을에 이는 그리움)
•유우석(劉禹錫): 秋詞(가을 노래) | 烏衣巷(오의항)
•백거이(白居易): 問劉十九(여보게 한잔 어떠신가) | 大林寺桃花(대림사의 복사꽃) | 感情(정을 느껴서) | 杜陵叟(두릉의 노인)
•유종원(柳宗元): 江雪(눈 내리는 강) | 溪居(시냇가에 살며)
•가도(賈島): 尋隱者不遇(만나지 못한 은자)
•이하(李賀): 秋來(가을을 맞이하여) | 夢天(꿈에 하늘에서)
•두목(杜牧): 山行(산행) | 贈別(그대를 떠나며) | 九日齊山登高(중양절 제산에 올라)
•이상은(李商隱): 夜雨寄北(밤비 내리는 날 북녘의 그대에게) | 錦瑟(지난 세월) | 無題(무제)
•온정균(溫庭筠): 商山早行(상산의 새벽 길)
송시
•왕우칭(王禹偁): 日長簡仲咸(긴긴 날 중함에게 보내는 편지) | 村行(시골길)
•임포(林逋): 山園小梅(동산의 작은 매화)
•양억(楊億): 南朝(남조)
•범중엄(范仲淹): 江上漁者(강 위의 어부)
•유영(柳永): 煮海歌(바닷물 달이는 노래)
•안수(晏殊): 寓意(마음을 기탁하며)
•송기(宋祁): 落花二首其一(낙화 제1수)
•매요신(梅堯臣): 陶者(기와 굽는 이) | 魯山山行(노산의 산길) | 悼亡三首其一(죽은 아내를 애도하며 제1수)
八月九日晨興如厠有鴉啄蛆(8월 9일 새벽에 일어나 변소에 갔더니 까마귀가 구더기를 쪼아 먹고 있었다)
•구양수(歐陽修): 戱答元珍(정보신에게 장난삼아 답하여) | 學書二首其二(서예를 익히다가 제2수) | 明妃曲和王介甫(왕안석의 〈명비곡〉에 화답하여)
•소순흠(蘇舜欽): 淮中晩泊犢頭(회하 여행 중 날이 저물어 독두에 배를 대고) | 慶州敗(경주에서의 패배)
•소옹(邵雍): 首尾吟其七十八(수미음 제78수)
•왕안석(王安石): 書湖陰先生壁二首其一(호음선생 댁 벽에 쓰다 제1수) | 泊船瓜洲(과주에 배를 대고) | 强起(억지로 일어나서)
•왕영(王令): 暑旱苦熱(여름 가뭄의 고통스런 더위)
•소식(蘇軾): 和子由澠池懷舊(자유의 〈면지회구〉 시에 화답하여) | 潁州初別子由二首其二(영주에서 자유와 이별하며 제2수) | 出潁口初見淮山是日至壽州(영구를 떠난 후 비로소 회산이 보이니 오늘 수주에 도착하겠다) | 小兒(어린아이) | 寒食雨(한식날의 비) | 題西林壁(서림사 벽에 쓰다)
•황정견(黃庭堅): 和答錢穆父詠猩猩毛筆(전협의 <성성모필> 시에 화답하여) | 次韻裴仲謀同年(동기생 배중모의 시에 차운하여) | 雙井茶送子瞻(쌍정차를 자첨께 보내며) | 次韻子瞻和子由觀韓幹馬因論伯時畵天馬(자첨이 자유의 〈한간이 그린 말을 보고〉 시에 화답한 것에 차운하여 이공린이 그린 천마를 논함)
•진관(秦觀): 春日五首其二(봄날 제2수)
•진사도(陳師道): 別三子(아들딸과 이별하고) | 絶句四首其四(세상사 제4수) | 春懷示隣里(춘심을 써서 이웃에게 보이다)
•진여의(陳與義): 襄邑道中(양읍 가는 길에) | 雨晴(비가 개서)
登岳陽樓二首其一(악양루에 올라 제1수)
•육유(陸游): 夜讀兵書(밤에 병서를 읽다가) | 乾明院觀畵(건명원에서 그림을 보고) | 沈園二首(심원) | 示兒(아들들에게)
•범성대(范成大): 催租行(세금 독촉의 노래) | 春日田園雜興十二絶其二(춘일전원잡흥 제2수) | 秋日田園雜興十二絶其九(추일전원잡흥 제9수)
•양만리(楊萬里): 湖天暮景(호수의 석양) | 桑茶坑道中八首(상다갱의 길 가운데서)) | 道傍店(길옆 가게)
•주희(朱熹): 觀書有感二首其一(책을 보다가 느낌이 일어서 제1수)
•유극장(劉克莊): 戊辰卽事(무진년의 즉흥시)
•문천상(文天祥): 正氣歌(정기가)
원명시
•원호문(元好問): 岐陽三首其二(기산의 남쪽 제2수) | 遊黃華山(황화산 유람) | 論詩三十首其二十六(논시 제26수)
•유인(劉因): 白溝(백구) | 半世(반평생)
•조맹부(趙孟頫): 岳鄂王墓(악왕 악비의 묘)
•게혜사(揭傒斯): 別武昌(무창을 떠나며)
•양유정(楊維楨): 西湖竹枝歌其四(서호죽지가 제4수) | 鴻門會(홍문에서의 연회) | 花游曲(꽃놀이 노래)
•살도랄(薩都剌): 西湖絶句六首其四(서호에서 제4수) | 芙蓉曲(연꽃)
•고계(高啓): 得家書(아내의 편지를 받고) | 梅花九首其一(매화 제1수) | 賣花詞(꽃 사세요) | 我愁(나의 슬픔)
•이동양(李東陽): 夜過邵伯湖(밤에 소백호를 지나며) | 南囿秋風(남유의 가을바람) | 重經西涯(거듭 서애를 지나며)
•이몽양(李夢陽): 夏登汴城東樓(여름날 변성의 동쪽 누각에 올라) | 遊金山其一(금산에 가서 제1수) | 述憤十七首其十一(번민을 술회하며 제11수)
•서정경(徐禎卿): 濟上作(제수 가에서)
•하경명(何景明): 答望之三首其一(매부 망지에게 제1수)
•양신(楊愼): 興敎寺海棠(흥교사 해당화) | 武侯廟(무후 제갈양의 사당)
•사진(謝榛): 秋興四首其四(가을에 이는 감흥 제4수)
•이반룡(李攀龍): 與元美登郡樓(원미와 함께 군루에 올라) | 白雪樓(백설루) | 古詩後十九首其二(고시후십구수 제2수)
•서위(徐渭): 春日過宋諸陵(봄날 송의 여러 황릉을 찾아가서)
•왕세정(王世貞): 寄于鱗(우린에게) | 酹孫太初墓(손일원의 묘에 술을 따르며) | 戚將軍贈寶劍二首其一(척 장군이 보검을 주시어 제1수)
•원굉도(袁宏道): 聞省城急報(우리 무창성의 급보를 듣고)
•종성(鐘惺): 江行俳體其二(장강을 지나가며 유희체로 제2수)
•담원춘(譚元春): 甁梅(화병 속의 매화)
청시
•전겸익(錢謙益): 河間城外柳二首其一(하간성 밖의 버드나무 제1수) | 無花(꽃도 없이) | 和盛集陶落葉其二(성집도의 〈낙엽〉 시에 화답하여 제2수) | 西湖雜感二十首其三(서호에서의 감회 제3수)
•오위업(吳偉業): 梅村(매화 마을) | 自歎(스스로를 한탄하다) | 圓圓曲(진원원의 노래)
•고염무(顧炎武): 秋山二首其一(가을 산 제1수)
•주이준(朱彝尊): 來靑軒(내청헌) | 雲中至日(운중의 동지) | 玉帶生歌(옥대생의 노래)
•굴대균(屈大均): 塞上感懷(변새에서의 감회)
•왕사진(王士禛): 秦淮雜詩十四首其一(진회에서 지은 잡시 제1수) | 秋柳四首其一(가을 버드나무 제1수) | 曉雨後登燕子磯絶頂(새벽 비 내린 후에 연자기 꼭대기에 올라)
•사신행(査愼行): 渡百里湖(백리호를 건너다) | 重過齊天坡(다시 제천파를 지나며) | 舟夜書所見(밤에 배에서 본 것을 적다)
•조집신(趙執信): 甿入城行(성에 들어간 농부)
•심덕잠(沈德潛): 月夜渡江(달밤에 장강을 건너며)
•여악(厲鶚): 曉登韜光絶頂(새벽에 도광사 산정에 올라) | 歸舟江行望燕子磯作(장강을 따라 돌아오는 배에서 연자기를 바라보며)
•정섭(鄭燮): 偶然作(우연히 짓다) | 揚州四首其三(양주 제3수)
•원매(袁枚): 苔(이끼) | 馬嵬四首其二(마외 제2수) | 詠錢(돈을 노래하다)
•장사전(蔣士銓): 漂母祠(빨래 아낙의 사당)
•조익(趙翼): 論詩其三(시를 논하다 제3수) | 後園居詩其四(다시 쓴 <원거> 시 제4수)
•옹방강(翁方綱): 望羅浮(나부산을 바라보며)
•황경인(黃景仁): 耒陽杜子美墓(뇌양의 두보 묘에서) | 都門秋思其三(도문에서의 가을 생각 제3수) | 癸巳除夕偶成二首(계사년 섣달 그믐밤에 우연히 쓰다)
•공자진(龔自珍): 詠史(영사) | 己亥雜詩其五(기해잡시 제5수)
•황준헌(黃遵憲): 雜感五首其二(이런저런 생각 제2수) | 紀事八首其三(대통령 선거를 기술하다 제3수)
찾아보기(작가)
찾아보기(작품)
문명총서 발간사
기타안내
배송안내 | - 주문결재일로부터 3일 이내에 배송됩니다. - 기타 도서, 산간지방은 다소 늦어질 수 있습니다. |
---|---|
반품/교환 | - 마이페이지 >주문조회 에서 반품 / 교환 신청을 하시거나 고객센터 1:1 게시판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변심반품의 경우 수령 후 7일 이내,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점 발견 후 30일 이내 |
반품/교환비용 | 변심 혹은 구매착오로 인한 반품/교환은 반송료 고객 부담 |
반품/교환 불가 사유 | - 소비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손실 또는 훼손된 경우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1)해외주문도서) -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
상품 품절 | 재고 사정에 의해 품절/지연될 수 있으며, 품절 시 관련 사항에 대해서는 이메일과 문자로 안내드리겠습니다. |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 |
- 상품의 불량에 의한 교환, A/S, 환불, 품질보증 및 피해보상 등에 관한 사항은 소비자분쟁해결 기준 (공정거래위원회 고시)에 준하여 처리됨 -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